보도자료
안동시의회 김순중 의원 시정질문 | |||||
---|---|---|---|---|---|
작성자 | 의회 | 작성일 | 2023-03-16 11:04:19 | 조회수 | 24 |
안동시의회 김순중 의원 시정질문 “맑은누리파크는 불량 소각장, 재가동해도 문제 발생”이전 촉구
안동시의회 김순중(풍산·풍천·남후·일직) 의원은 2월 28일 제239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경북도청신도시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시설인 맑은누리파크에서 2023년 2월 3일 발생한 화재에 관련된 시정질문을 하였다.
권기창 안동시장을 상대로 시정질문을 한 김순중 의원은 소각장 화재가 발생한 후 도청신도시 지역 주민들 사이에 소각장 안전을 신뢰하지 못해서 폐쇄를 주장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면서 소각장 화재는 누구의 책임이냐고 추궁했다. 김 의원은 안동시에 광역소각장 입지를 선정하도록 허락한 것은 안동시장의 책임이 있으며 재난을 예방하는 것은 안동시장의 의무라고 주장했다. 또한 입지선정위원회는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광역화에 참여하는 11개 시군 전체지역에서 입지를 검토하여야 했는데, 신도시의 의도된 위치를 광역소각장 입지로 선정하고 입지타당성을 생략한 것도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재가동시의 안전성에 대한 질의에 권기창 시장이 ”잘 보수해서 문제없이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답하자 김순중 의원은 소각장의 가동 시작부터 화재 발생까지 가동현황을 보면 정상적인 소각장이냐고 따져 물으며 ”4년째 현상을 보면 소각장이 정품이 아니고 불량품으로 물려야 된다. 맑은누리파크는 불량 소각장으로 재가동이 아니라 폐쇄하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기창 시장의 답변에 의하면 맑은누리파크 소각시설의 2022년 가동현황은 1호기는 155일간, 2호기는 137일간 가동이 되지 않았다. 최근 2022년 12월 1일부터 화재 발생 전까지 한 달 동안의 현황은 1호기의 경우 폐연료 보일러 가열기 보수작업으로 13일간, 2호기의 경우에는 제어밸브 기판, 펌프 및 배관 보수작업으로 총 23일간 가동이 중단되었다.
김순중 의원은 준비한 ’경북도청신도시 경북바이오산단 발암물질에 무방비 노출 됐다‘는 기사를 보여주며 ”소각장 재가동에 대해 염려하며 추가로 유해 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허가가 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기적인 경북 북부권 11개 시군의 안정적인 쓰레기 처리 대안에 대한 질문에 권기창 시장은 ”현재 맑은누리파크 소각장에 전처리 선별기 시설이 없어 선별되지 않은 쓰레기를 처리하다 보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 소각장 내부에 전처리 선별기를 설치하고 철저한 보수를 하여 안정적인 운영이 되도록 경상북도에 건의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김순중 의원은 ”현 소각장에는 전처리 선별기를 설치할 공간이 없다. 재가동 시에도 선별을 거치지 않으면 문제가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는 당초 2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선별기를 건설하도록 하였으나 국비를 지원받는 시설이 아니라고 전처리 선별기 설치를 생략하고, 당초 소각시설 규모를 190톤에서 390톤으로 확대하였다. 선별기를 각 지자체에서 설치하면 설치 기간은 적어도 2년은 소요되는데 그때까지 대책이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정상적으로 광역소각장이 가동되지 않으면 경상북도에 소각장 이전을 요구할 생각은 없는가“라고 질문하자 권 시장은 ”20년간 BTO 방식의 계약이 되어 있어 당장 소각장을 없애기는 어렵고 이번 사건을 교훈으로 소각장의 2~3개 시군 권역별 분산 설치에 대해서는 괜찮은 방법이란 생각이 든다“고 답하였다.
끝으로 김순중 의원은 폐기물관리법 제5조에 의거 광역소각장의 운영 주체는 경상북도가 아니라 소각장이 위치한 안동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11개 시군의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할 것을 촉구했다.
|
|||||
첨부 |
이전글 | 안동시의회, 튀르키예·시리아 지진피해 성금 100만원 전달 |
---|